
조영기 한반도선진화재단 선진통일연구회장
한반도정세가 북한의 2018년 신년사를 기점으로 표변(豹變)하고 있다. 북한의 도발과 국제사회의 제재는 일순간 대화와 협상, 화해와 평화의 무드로 전환되었다. 북한 신년사는 평창 동계올림픽을 거쳐 2차례의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켰고, 6월12일 싱가포르 미북정상회담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북한의 몽니와 전술변화로 결코 순탄치만 않았다. 하지만 북한의 표변은 한반도정세 ?나아가 동북아 지형- 의 변화에도 심대한 영향을 미칠 것은 분명하다. 벌써 종전협정과 평화협정이 본격적으로 논의되는 상황까지 진전되고 있다.
북한은 6차례의 핵실험과 2017년 11월29일 장거리투발수단(ICBM)인 화성-15형 시험발사에 성공했다. 특히 북한이 ‘국가 핵무력 완성’을 공식선언(2017.11.29)했다는 점을 주시해야 한다. 이는 북한의 표변의 이면에는 핵보유를 공식화한 상태에서 화해와 협력을 통해 경제발전의 동력을 확보하려는 의도가 숨겨져 있다는 점이다. 소위 핵·경제발전의 병진전략의 한축인 경제발전을 도모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국제사회는 북한의 핵보유를 용인할 수 없다는 점이 다. 국제사회는 북핵 폐기(CVID: complete, verifiable, irreversible dismantlement)’가 공식입장이며, 이를 위해 공동대응하고 있다. 왜 북한의 태도가 2018년부터 갑자기 돌변했는가, 그리고 과연 북한은 국제사회의 바람처럼 핵을 폐기할 것인가, 만약 북한의 변화가 우리의 바램에 미치지 못한다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또한 북한변화에 진정성이 있다면 우리는 통일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등이 당면과제이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다운받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번호 |
제목 |
날짜 |
---|---|---|
163 | [2025년 7월] 남북한 헌법제정의 상이성과 그 성과 | 25-06-30 |
162 | [2025년 6월] 군가산점제 부활하나? | 25-05-30 |
161 | [2025년 5월] 시대가 요구하는 지도자의 자질과 덕목 | 25-05-07 |
160 | [2025년 4월] 첫 단추부터 잘못 꿰어진 국회식 연금 | 25-04-01 |
159 | [2025년 3월] 무책임한 추경과 경제 파탄 | 25-02-28 |
158 | [2025년 2월] 보수의 재건 | 25-02-03 |
157 | [2025년 1월] 각자의 자리에서 작은 불씨를 밝힙시다! | 25-01-06 |
156 | [2024년 12월] 디지털 시대의 근로시간제도 개혁해야 | 24-12-03 |
155 | [2024년 11월] 노인 연령 상향과 노인복지 | 24-11-04 |
154 | [2024년 10월] 한반도선진화재단 창립 18주년 : 성찰과 통찰 | 24-10-02 |
153 | [2024년 9월] 가계부채 왜 줄지 않는가? | 24-09-04 |
152 | [2024년 8월] 일본이 한국보다 합계출산율이 높은 비결 | 24-08-01 |
151 | [2024년 7월] 우리나라 상속세의 모순과 과제 | 24-07-04 |
150 | [2024년 6월] 국민연금기금 운용방식 바꾸어야 한다 | 24-06-03 |
149 | [2024년 5월] 3고 현상과 한국의 대응 방안 | 24-05-02 |
148 | [2024년 4월] 안중근이 주는 시대적 교훈 | 24-04-01 |
147 | [2024년 3월] ‘3·1 독립운동’과 자유통일 | 24-03-04 |
146 | [2024년 2월] 생성 인공지능과 HBM 반도체가 인공지능 신(新) 애치슨 라인을 만든다 | 24-02-06 |
145 | [2024년 1월] '품격 있는 대한민국'은 계속되어야 한다 | 24-01-04 |
144 | [2023년 12월] "9.19 남북한 군사합의" 파기: 이제는 북핵 대비에 전념해야 | 23-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