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최인호 변호사 대담] 질병의 뿌리
 
2020-04-23 15:10:43

◆ 최인호 변호사의 질병 관련 대담형식의 글 입니다. 

    한반도선진화재단 회원님께도 공유해드립니다. 첨부파일을 통해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질병의 뿌리 >

 

우한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로 퍼진 코로나19 사태가 벌써 3~4개월이나 계속되고 있다. 그사이 수많은 생명이 사라졌고, 세계 경제가 마비되어 그 금액을 산정할 수 없을 정도의 피해가 발생했다. 하지만 아직도 현대의학은 코로나19의 예방백신과 치료약인 항바이러스제를 개발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식이라면 코로나19는 대부분 사람이 자연적으로 항체를 보유하는 시점까지 계속될 것이고, 그 이후에야 백신과 항바이러스제가 개발될 것이다. 그러나 그사이 수많은 사람이 죽고, 경제뿐만 아니라 정치·사회·문화의 모든 시스템은 회복 불능의 상태에 빠질 것이다.

지구 오염이 심해질수록 새로운 바이러스의 등장속도는 빨라질 것이고, 그에 대한 현대의학의 대응 시스템은 지금과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다. 새로운 바이러스가 나타난 이후부터 그에 맞는 백신과 항바이러스제를 개발하기 시작해 빨라야 1년 이상이 지난 후에야 개발되는 시스템이다.

우리는 그동안 현대의학이 엄청난 성과를 이루었다고 알고 있었다. 그러나 현대의학은 코로나19에 무기력하게 무릎을 꿇고 말았다. 현대의학의 한계가 극명하게 드러난 것이다. 왜 현대의학은 한계 상황에 처하게 되었을까?

그래서 현대의학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를 극복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질병의 뿌리라는 책을 쓴 최인호 변호사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기자 : 변호사가 어떻게 이런 책을 쓸 수 있었습니까?

최변 : 의학을 전체적으로 보았기 때문입니다. 만일 제가 의사였다면 방대한 의학지식에 파묻혀 질병을 전체적으로 볼 수 없었을 것입니다. 또한, 저는 젊은 시절부터 여러 가지 병으로 고생했고, 그것들을 극복한 체험이 있었기에 질병의 뿌리를 쓸 수 있었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날짜
2633 [문화일보] 한미 통상협상, 지킬 것과 양보할 것 25-10-24
2632 [한국일보] 형법상 배임죄 폐지 정말 신중해야 25-10-24
2631 [파이낸셜뉴스] 복지포퓰리즘 줄이고 미래세대 챙겨야 25-10-21
2630 [문화일보] 국정감사 난장판과 청년층의 與 이탈 25-10-17
2629 [파이낸셜투데이] 이재명 정부는 무엇을 놓치고 있나? 25-10-16
2628 [중앙일보] ‘한국남-일본녀 국제결혼’이 급증한 이유는 25-10-13
2627 [한국경제] SK하이닉스 성과급 1억원, 박수만 칠 일인가? 25-10-02
2626 [동아일보] ‘영올드’ 활용법 찾아야 국가 인적자원 유실 막는다 25-09-26
2625 [중앙일보] 기업 개념 송두리째 바꿀 ‘노란봉투법’ 25-09-25
2624 [문화일보] 정당정치 왜곡하는 ‘개딸 부족주의’ 25-09-22
2623 [문화일보] 대만의 한국 추월 동력은 친기업 정책 25-09-17
2622 [한국경제] "대중국 전략, 새로운 접근 필요…'안미경중' 폐기해야" 25-09-15
2621 [파이낸셜투데이] 국정 운영 기조가 흔들린 이재명 정부 100일 25-09-12
2620 [매일신문] 구호만 있고 성과는 없는 빈 수레 국정 운영 25-09-09
2619 [매일경제] 경제 살리기 행정부·입법부 따로 없다 25-09-09
2618 [시사저널] 국채 무서워 않는 이재명 정부, 국가의 지속 가능성 생각해야 25-09-08
2617 [문화일보] 법정을 쇼 무대 만들 ‘내란 재판’ 중계 25-09-08
2616 [한국경제] 중국 경제의 변화와 우리의 대응 25-09-08
2615 [아시아투데이] 北 장마당 환율 폭등 주목해야 25-09-05
2614 [한국경제] 자사주 의무소각, 경제적 자해 입법 25-09-01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