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30여년의 역사는 '합의-번복-협상-보상-도발'이라는 악순환의 반복이다. 이런 악순환의 구조는 '우리의 선의에 북한도 선의로 응대할 것'이라는 희망적 사고와 북핵 위협이 가져올 재앙을 애써 평가절하한 확증 편향의 사고가 만든 자업자득의 산물이다. 또한 북한의 선전ㆍ선동에 속아 사회 일각에서 북핵 보유를 타당한 것으로 인정(?)하려는 기이한 현상도 악순환을 부추겼다. 이런 점에서 모두의 참회를 요구한다.
참회는 잘못을 깨닫고 깊이 뉘우쳐 같은 잘못이 재발되지 않도록 하는 자성이다. 북핵 문제에 대한 참회의 핵심은 무엇이 잘못됐고 어떻게 재발을 방지할 것인가다. 잘못은 합의되지 않은 비핵화 개념, 비핵화의 근원적 해법에 대한 회피, 북핵 위협의 실체에 대한 외면 등이다.
우선 북핵 개념은 3국3색이다. 한국은 북한 비핵화 또는 한반도 비핵화, 미국은 북핵 폐기, 북한은 한(조선)반도 비핵지대화다. 특히 우리의 한반도 비핵화는 북한의 조선반도 비핵지대화와 닮아 혼란을 초래했다. 또한 북한의 한반도 비핵지대화는 "북과 남의 영역 안에서뿐 아니라 한(조선)반도를 겨냥하고 있는 주변으로부터의 모든 핵 위협 요인 제거"를 의미한다. 결국 북한의 비핵지대화는 핵군축에 대비한 핵 보유로 완전한 핵 폐기와 거리가 멀다. 하노이 노 딜 시 영변 핵 시설 폐기 카드만 제시하면서 북한의 저의가 드러났다. 이처럼 3국3색의 비핵화 개념은 북핵 해결의 구조적 한계로 늘 지적됐다. 이런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비핵화 개념을 명확히 하는 것이 요구된다. 바로 '북핵 폐기'로 통일하는 것이다.
그리고 '대화와 협상을 통해 북핵 폐기'를 해결하겠다는 착각이 30여년을 이어온 악순환의 근원이다. 물론 대화와 협상은 중요하고 필요하다. 하지만 대화와 협상 못지않게 북한이 핵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중요하다. 환경 조성의 수단은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다. 지금 대북 제재는 인도적, 경제적 제재가 시행되고 있다. 국제 공조의 대북 제재는 북핵 폐기의 유일한 평화적 수단이라는 점에서 제재가 평화적 기능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유엔(UN)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결의안 2371호(2017.8.5) 이후 경제 제재가 북한의 근원적 변화의 촉진제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북핵 폐기를 위해 국제 공조의 구조적 허점을 차단하는 것이 관건이다. 최근 미 국무부는 구조적 허점으로 악용되는 공해상에서의 석탄과 석유 불법 환적을 차단하기 위해 500만달러의 현상금을 내걸면서 제재의 고삐를 바짝 조이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석탄 불법 반입과 환적에 개입한 의혹 때문에 구조적 허점의 진원지로 의심을 받고 있다. 또한 3ㆍ1절 기념사에서 개성공단 재가동과 금강산 관광 재개를 천명한 것도 제재 우회로 제공자로 의심받기에 충분하다. 이는 선(先) 북핵 폐기의 구도와 배치된 조치여서 심히 우려된다.
북한은 평화를 앞세워 북핵의 저의를 숨겨왔다. 그러나 북핵은 통일대전의 절대보검으로 한국을 직접 겨냥하고 있다. 이처럼 북한과의 평화는 '핵 있는 상태에서의 평화'로 허약한 평화다. 따라서 진정한 평화의 시작은 북핵 폐기 이후다. 싱가포르 합의의 핵심인 북핵 폐기는 아직도 유효하며 길을 찾아야 한다. 그 길은 국제 공조를 통해 선(先) 북핵 폐기 후(後) 관계 개선의 구도를 지키는 것이다.
◆ 칼럼 원문은 아래 [칼럼 원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
제목 |
날짜 |
---|---|---|
2623 | [문화일보] 대만의 한국 추월 동력은 친기업 정책![]() |
25-09-17 |
2622 | [한국경제] "대중국 전략, 새로운 접근 필요…'안미경중' 폐기해야" | 25-09-15 |
2621 | [파이낸셜투데이] 국정 운영 기조가 흔들린 이재명 정부 100일 | 25-09-12 |
2620 | [매일신문] 구호만 있고 성과는 없는 빈 수레 국정 운영 | 25-09-09 |
2619 | [매일경제] 경제 살리기 행정부·입법부 따로 없다 | 25-09-09 |
2618 | [시사저널] 국채 무서워 않는 이재명 정부, 국가의 지속 가능성 생각해야 | 25-09-08 |
2617 | [문화일보] 법정을 쇼 무대 만들 ‘내란 재판’ 중계 | 25-09-08 |
2616 | [한국경제] 중국 경제의 변화와 우리의 대응 | 25-09-08 |
2615 | [아시아투데이] 北 장마당 환율 폭등 주목해야 | 25-09-05 |
2614 | [한국경제] 자사주 의무소각, 경제적 자해 입법 | 25-09-01 |
2613 | [파이낸셜투데이] 조국 사면과 하인리히 법칙 | 25-08-26 |
2612 | [자유일보] 뭇매 맞은 자폭 광고 | 25-08-25 |
2611 | [문화일보] 대북 정보 유입은 ‘편입 통일’ 출발점 | 25-08-20 |
2610 | [한국경제] 정의의 가면 쓴 노란봉투법 | 25-08-20 |
2609 | [이데일리] 70년 기업 뒤흔드는 상법 개정 후폭풍 | 25-08-18 |
2608 | [매일신문] 정청래 대표의 왜곡된 인식이 가져 올 파국 | 25-08-11 |
2607 | [파이낸셜투데이] 정청래식 초강성 정치의 위험성 | 25-08-08 |
2606 | [문화일보] 한미정상회담 앞서 번지는 안보 불안 | 25-08-06 |
2605 | [문화일보] 위헌성 크고 공영방송 망칠 ‘방송 3법’ | 25-07-31 |
2604 | [한국경제] 중국의 정치적 급변, 사실일까 | 25-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