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실적

  • 자료실

  • 발간도서

  • 프리미엄 리포트

  • 언론보도

  • 인포그래픽

[노컷뉴스] [21대 신입생이 온다]박수영 "초선 개혁모임 우후죽순 생겨야"
 
2020-05-26 10:08:36

[초선 릴레이 인터뷰?] 미래통합당 부산 남구갑 박수영 당선인
"박근혜 정권 시절 초선들 소극적 태도 문제…개혁 목소리 내야"
"조국 사태 등 호재 속에서 보수 참패…국민 눈높이 맞춰야"
"강경투쟁으로 중도층 외면…좋은 정책으로 수권능력 보여줄 것"
"제왕적 대통령 권한 줄이는 1호 법안 준비"

21대 국회에 입성한 초선의원은 151명. 전체 의석수의 절반을 넘은 만큼 입김도 세졌다. 여야 정치권 모두 '일하는 21대 국회'가 돼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초선 당선인들의 역할에도 남다른 관심이 모아진다. 이들이 기성 정치에 어떤 변화의 바람을 일으킬지, 조금은 거칠지만 그래서 솔직한 초선 '뉴비(newbie)'들의 거침없는 포부를 들어본다. [편집자 주]



4?15 총선에서 참패를 당한 미래통합당은 패배의 원인을 찾는 데 분주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상대적으로 보수진영에 유리한 PK(부산?경남)에서 승리를 거둔 박수영 당선인조차 이번 기회를 통해 수권정당으로 거듭나지 못하면 남은 대선과 지방선거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21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국회 사랑재에서 만난 박 당선인은 "박근혜 정권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서라도 당내 초선들 중심의 개혁모임이 우후죽순으로 만들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행정고시 출신으로 안전행정부 인사기획관과 경기도 행정부지사를 지낸 박 당선인은 이번 부산 남구갑 총선에서 53.57%의 득표율로 더불어민주당 강준석 후보를 꺾고 여의도에 입성했다.

다음은 박 당선인과의 일문일답

-21대 국회 개원 전부터 당내 초선들의 목소리가 들리는데?
=당선인 총회를 앞두고 초선 당선인들이 성명서를 두 번 내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초재선모임을 하나로 합친다는 소식도 있지만, 일단은 처음엔 초선들 모임이 우후죽순(雨後竹筍)으로 생기는 게 바람직하다고 본다. 초선들이 개혁에 앞장서며 당의 기류를 바꾸는 역할을 해야한다. 박근혜 정부 시절, 초선의원들이 대통령의 눈빛 레이저 한번 맞으면 고개를 못 드는 등 비판 목소리를 안 내면서 결국 견제에 실패한 것이다. 


 
-영남권조차 쉽지 않은 선거였는데, 소감이 어떤가?
=올해 초만 해도 분위기가 좋아서 부산에선 압도적으로 이길 것이라고 봤는데 상당히 어려운 선거를 치렀다. 당선의 기쁨은 순간이고, 전체 의석수가 100석 안팎에 불과한 처참한 결과에 어깨가 무겁다. 경제 실정과 조국 사태 등 호재가 많지만, 보수가 참패한 데 대해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 보수정당이 국민들 눈높이를 맞추지 못한 것 같다.

  

-참패의 가장 큰 원인이 무엇이라고 보는가?
=가장 큰 원인은 '강경투쟁'이라고 생각한다. 삭발과 단식, 무조건 거리로 나가는 식의 이런 강경 투쟁에 중도층이 공감하지 못했다. 민주당이 낸 법안에 대해 우리당이 대안 법안을 내거나 뭔가를 제시하지 않은 채, 반대하는 모습들이 중도층에게 마이너스 요인이 된 것 같다.

-당선인들이 영남권에 편중되면서 '영남당'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극복 방안이 있다면?
='정책, 정책, 정책'이라고 답하고 싶다. 당장 2년 후 대선이 있고, 지방선거도 있다. 우리당이 섀도우 캐비넷으로 총 18명의 장관에 해당하는 전문가를 모두 임명해 선제적으로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 국민들이 '저 당은 좋은 정책을 많이 내는데 의석수가 모자라 채택이 안 되는구나. 민주당이 반대를 많이 하구나'라고 느끼게 해서 수권정당의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김종인 비대위 체제를 앞두고 청년 정치가 화두다. 청년 정치가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가?
=청년들이 가장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부분 공감능력이다. 정책 쪽은 경험이 아직 부족하기 때문에 당에서 청년 정치학교 만들어 교육하고 키워야 한다. 예를 들면 청년 정치 후보들이 칼럼 사이트를 만들어 각자 자기 좋아하는 분야들의 칼럼을 써가면, 정책적인 실력이 생기기 마련이다. 청년들이 정치권에 입문할 때도 험지에 막 보내기 보단 '비례 짝수 순번은 전원 30대 배치' 등 파격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

-원내 입성 후 계획 중인 '1호 법안'이 있다면?
=우리 정치의 가장 큰 문제점이 제왕적 대통령제다. 대통령이 현행 법상으로 1만개 이상 기관장을 임명할 수 있다. 우리보다 행정부 규모가 더 큰 미국의 경우도 대통령이 임명할 수 있는 자리가 2300개에 불과하다. 규모는 100분의 1인데 임명할 수 있는 자리는 5배나 우리가 많은 셈이다. 밖에서 보면 여야가 이념적으로 대결하는 것 같아도 결국 자리 싸움 하고 있는 셈이다. 이런 구조를 방치하면 이념정당이 아니라 이권정당으로 전락하고 만다. 이런 법들을 찾아서 대통령이 권한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개정안을 발의하고 싶다.



◆ 기사 원문은 아래 [기사 원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사 원문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2207 [주간조선] "노란봉투법, 현 상태로 통과되면 파장 크다" 25-07-14
2206 [에너지경제] 강성진 차기 한국경제학회장 “에너지고속도로보다는 분산에너지 인프.. 25-07-09
2205 [유튜브 - 삼프로TV] 금 모으기, 새마을운동 정신이 사라진 이유 25-07-07
2204 [주간조선] 대한민국이 난파선이 되어가는 세 가지 이유 25-07-07
2203 [문화일보] “北, 해킹으로 연 1조원 불법 외화벌이” 25-06-20
2202 [서울경제] “보편적 지원금은 지속 불가능…저소득층에 집중해야” 25-06-18
2201 [팬앤마이크] 북한 전문 매체 "트럼프, 수차례 대화 시도했으나 김정은이 거듭 고사.. 25-06-12
2200 [파이낸셜뉴스] ‘노란봉투법’… 손배 책임·재산권 침해 논란, TV토론 계기로 재점화 25-05-21
2199 [문화일보] “새 정부, AI 기반 첨단 국방체계 전환…대통령 직속 독립적인 국가정보.. 25-05-21
2198 [스카이데일리] “새 정부, AI 기반 첨단 국방체계 전환해야” 25-05-21
2197 [주간조선] "의료를 국가전략산업으로 인식해야" 25-05-12
2196 [독립신문] 한반도선진화재단, 국가대전환시대 11대 정책제안 발표 25-05-09
2195 [문화일보] 한반도선진화재단, 11대 정책 제안 “자유민주주의·법치주의 복원해야” 25-05-09
2194 [아시아투데이] 아시아투데이·한반도선진화재단, ‘국가 재창조 11대 정책 제안’ 공.. 25-05-07
2193 [아시아엔] 신뢰와 공공성의 나라 ‘독일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25-05-07
2192 [이데일리] "꽉 막힌 52시간제·징벌적 상속세…기업 족쇄 푸는 게 정부 역할" 25-04-09
2191 [한국경제] 국가 리셋 달린 '선택의 시간'…원로들이 제시한 5가지 과제 25-04-07
2190 [에포크타임스] “부동산, 규제보다 중요한 건 예측 가능한 정책 시그널” 25-03-28
2189 [여성경제신문] 대통령·의회 중 제왕은 누구···'진실과 정론' 헌법 개정과 정치개혁.. 25-03-19
2188 [이데일리] 싱크탱크 연대 ‘진실과 정론’, ‘헌법개정과 정치개혁’ 주제 토론회 25-03-17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