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문화일보] ‘일자리 개선’ 文정부 주장의 허구성
 
2019-02-13 17:21:54

◆ 칼럼을 기고한 강성진 교수는 현재 한반도선진화재단 정책위원회 국가전략연구회장으로 활동 중입니다. 


문재인 정부 집권 만 2년이 다가오면서 소득주도 성장 정책의 효과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청와대와 정책 입안자 등 정책 지지자들은 부분적으로 효과가 이미 나타났고, 올해에는 본격적인 정책적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주장한다. 지난해 12월이면 본격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던 주장에선 물러섰지만, 여전히 정책 효과에 대한 자신감은 그대로다. 

대표적인 주장은 문 대통령이 신년사에서 밝혔듯이, 상용직이 증가하면서 일자리의 질이 개선됐다는 것이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2018년 전체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34만5000명이 늘었다는 게 이를 반영한다. 전체 취업자가 9만7000명 증가에 그친 것을 보면 증가 폭이 매우 큰 건 사실이다. 심지어는 지난해 민간 소비 증가율이 경제성장률을 초과한 2.8%로 나타나자 소득주도 성장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정책 기조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도 주장한다. 

이는 정책 입안자들의 왜곡된 기준에 의해 나온 해석이다. 상용근로자는 늘었지만 그로 인해 일자리를 잃은 19만5000명의 임시·일용 근로자에게 뭐라고 말할 수 있는가? 지난해 문 대통령이 최저임금 인상의 긍정적 효과가 90% 이상이라고 했을 때 나타난 오류와 똑같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실업자가 되거나 더 어려워진 자영업자는 제외하고 일자리를 가진 임금근로자만 고려한 것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보자. 100만 원 월급을 받는 임시근로자가 2명이 있다고 하자. 정부 정책으로 1명은 상용근로자가 돼 150만 원을 받고, 다른 1명은 실업자가 됐다. 이 경우 1인당 근로소득(150만 원)은 올라가고 상용직 수가 늘어 노동의 질이 좋아졌다고 주장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실업자가 늘어나고 1인당 소득(75만 원)은 줄게 되며 정부는 실업자를 위한 지원 부담이 늘어나게 된다. 

경제정책의 수단과 효과에 대한 현 정부의 부분적이고 파편적인 시각은 많은 경제학자를 어리둥절케 한다. 경제정책 효과는 종합적이고 일반 균형적인 시각으로 판단해야 한다. 임금 인상으로 소득이 높아지는 상용직만 아니라, 그 때문에 일자리를 잃는 임시직도 봐야 한다. 오는 8월 1일부터 시행되는 ‘강사법’을 보자. 7만5000여 강사 중 일부는 일자리 안정과 임금 인상이 있겠지만, 다른 이들은 적은 소득의 일자리마저 잃을 것이다. 이를 노동의 질이 좋아졌다고만 할 수 있는가?

최근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전문제 대학 졸업자 이상의 실업자는 49만4000명으로, 고졸 실업자 44만4000명보다 많다고 한다. 고학력 비경제활동인구도 366만6000명으로 사상 최대였다. 이런 상황에서 청년층(15∼29세) 고용률이 높아졌으므로 정책이 성공했다는 정부의 주장을 보자. 올해도 일자리를 찾으려고 노동시장으로 진출하는 50만 명이 넘는 졸업생이 어떻게 받아들일지 궁금하다.

왜곡된 시각에 의한 판단은 정책이 잘못된 방향으로 움직여도 정책 효과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다. 이제라도 정부는 경제정책 효과를 종합적인 시각으로 봐야 한다. 사회적·이념적인 시각을 버려야 한다. 그 누구도 최저임금 인상이나 상용직 증가, 보편적 복지 지출 증가 등 정책에 반대하지 않는다. 다만, 이들 정책으로 의도하는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지를 봐야 한다. 실질적으로 일자리가 늘어나고 소득 격차가 해소되고 있는지, 특히 저소득층의 가처분소득이 늘어나고 소비가 늘고 있는지를 봐야 한다. 의도된 정책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면 수단을 바꿔야 한다.


◆ 칼럼 원문은 아래 [칼럼원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칼럼원문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2379 [한국경제] 실패한 대북정책 '징비'가 필요하다 23-12-21
2378 [문화일보] 재판 지연 막을 전방위 대책 시급하다 23-12-13
2377 [아시아투데이] 로테크 제품도 경제안보 대상! 23-12-12
2376 [중앙일보] 메가시티 서울, 한반도 개편의 촉매 23-12-11
2375 [파이낸셜투데이] 폭정의 민주당도 총선 심판의 대상이다 23-12-06
2374 [동아일보] 횡재세 추진… 공정성도 신뢰성도 보이질 않는다 23-12-05
2373 [데일리안] 기업구조조정 촉진법 조속히 재입법해야 23-12-05
2372 [시사저널] 새 국정원장, 대통령과 너무 가깝지도 멀지도 않은 사람으로 23-12-04
2371 [서울경제] 위헌 소지 높은 방송법 개정안 23-11-29
2370 [한국경제] '주주의 비례적 이익'이라는 현혹 23-11-29
2369 [파이낸셜투데이] ‘이준석 신당론’에 대한 단상 23-11-23
2368 [시사저널] 출산 당사자 아닌 관련 기관·업계로 흘러간 저출산 예산 23-11-23
2367 [에너지경제] '메가 서울' 이슈에 뒷전으로 밀리는 지방소멸 대책 23-11-13
2366 [한국경제] 자강(自强)이 있어야 동맹도 있다 23-11-10
2365 [서울경제] 공정위의 고발지침 개정안 전면 재검토해야 23-10-31
2364 [문화일보] 과도한 ‘1인 시위’ 적절한 규제 필요성 23-10-30
2363 [문화일보] ‘박유하 무죄’와 친일몰이 광풍 시정 23-10-30
2362 [동아일보] 새 대입제도, 교육개혁 성과의 시발점 돼야 23-10-27
2361 [아시아투데이] 이스라엘의 국가 수호 결기, ‘자강(自强) 기반 동맹’의 중요성 23-10-26
2360 [ifs POST] 재정으로 본 미국의 야당과 한국의 야당 23-10-20
1 2 3 4 5 6 7 8 9 10